비문증 원인 치료법 알아볼게요

비문증은 날파리증이라고도 불리기도 합니다. 시야에서 날파리와 같은 것이 계속해서 날아다니는 것을 말합니다. 눈앞에 자꾸만 무언가가 둥둥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시야가 방해되므로 일상을 불편하게 하는 증상입니다. 오늘은 비문증 원인 치료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비문증 원인

비문증 원인

이 질환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에는 노화의 비중이 큽니다. 40대에 환자가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이후에는 60대에 접어든 시점이 되면 많이 생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노화와 일부 연관이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나이가 들면 다른 장기들과 마찬가지로 안구도 늙어가게 됩니다. 그러면서 겔과 같은 액체와 고체 그 중간 어디쯤 있는 물성을 지닌 유리체가 두꺼워지게 됩니다. 그리고 오그라들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주름이 만들어지고 떨어져 나간 조직이 생겨 부유물이 생성됩니다. 이 생성물은 바깥으로 배출되지 않고, 유리체 안에 있으면서 그림자를 만들어냅니다. 그게 망막에 상으로 맺히게 되는데 이때 그림자에 대한 정보도 뇌에 함께 전달됩니다.

일반적인 증상

비문증의 증상으로는 큰 입자가 아닌 작은 입자들이 눈앞에 보입니다. 실과 같은 지렁이가 기어 다니는 것이나 파리들이 여러 곳에서 돌아다닌다거나 하는 식으로 끊이지 않고 보입니다. 심지어는 눈을 감은 상태에서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 광시증과 구분이 필요

비문증은 광시증과 헷갈릴 수 있으므로 둘을 구분해야만 합니다. 광시증이라는 것은 안구를 직접적으로 다치게 되었을 때 눈에서 번개가 번쩍하는 느낌이 드는 것을 말합니다. 만화 영화의 캐릭터들이 눈을 맞고 별을 보는 것과 동일합니다. 이는 유리체가 일시적으로 수축을 하게 되면서 망막을 잡아당겨 번쩍하게 됩니다. 없어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때로는 두통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도 노화의 한 증거이기 때문에 심각하게 보지 않아도 됩니다.

– 망막 박리와 구분 필요

하지만 광시증과 달리 망막 박리로 인해서 보이는 것이라고 했을 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것은 망막에서 시신경 층이 안구의 조직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경우입니다. 이것은 자칫 실명을 불러올 수도 있습니다. 이것을 병적 비문증이라고 분류하고 있습니다. 단순성으로 나타나는 것과 구분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단순성의 경우에는 별다를 조치를 취하지 않았는데도 자연스럽게 나아지기도 합니다.

비문증 치료법

비문증은 어떤 통증이나 시야를 심하게 막지 않는다면 별다른 치료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자연스럽게 눈앞의 부유물이 보이는 빈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그런데 지속해서 이물질 개수가 많아지고, 시력이 떨어진다면 다른 안구 질환이 발생한 것일 수 있기 때문에 치료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안과 진료를 받아보고 빨리 치료해야 합니다.

끝으로 일단 증상을 자각하게 되었다면 정확한 진단을 받아봐야 합니다. 그리고 어떻게 대응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 결정해도 늦지 않습니다. 다만 더 이상 증상이 안 보인다고 해서 사라진 게 아니기 때문에 이것은 다 나았다고 볼 수 있는 개념은 아니라는 점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댓글

  •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