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식도염 원인 3가지 알아볼게요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 점막이 손상되어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말합니다. 이는 하부 식도 괄약근이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해서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는 만성 질환인 위, 식도 역류 질환에 의해 나타납니다. 오늘은 역류성식도염 원인 3가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역류성식도염 원인

역류성식도염 원인 1. 잘못된 생활 습관

위 내용물 정체, 위액 과다 분비, 위 내용물 증가 등으로 십이지장으로 배출되어야 할 것들이 배출하지 못하고 역류 현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식후에 바로 눕게 되면 위 내용물이 식도와 가까워지면서 역류가 잘 일어나게 됩니다.

2. 음식

위와 식도 사이에 존재하는 괄약근의 압력이 줄어들어서 제대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면 역류성 식도염이 나타납니다. 기름진 음식, 음주, 흡연, 커피, 초콜릿, 박하, 오렌지주스 등이 괄약근 압력 감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체중 증가

비만, 임신, 복수 등으로 위 내부의 압력이 증가해서 복압이 증가하면 역류성식도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역류성식도염 증상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속 쓰림과 위산 역류 증상입니다. 보통 식후나 밤에 가슴이나 목이 타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위산 역류 현상으로 인해서 신맛이나 쓴맛이 나는 액체가 입이나 목구멍으로 올라오기도 합니다. 그리고 음식을 먹을 때 목이나 가슴에 걸리는 이물감으로 음식을 삼키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흉통과 함께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심하면 메스꺼움과 구토 증상이 나타납니다. 증상을 무시하고 방치하면 식도 궤양, 협착, 바렛식도와 같이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역류성식도염 치료

증상이 심하다면 약물치료 또는 수술이 권장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평소 생활 습관의 개선도 필요합니다. 과식을 피하고 식사 후에 바로 눕는 습관을 고쳐야 합니다. 앞서 설명해 드린 괄약근의 압력을 낮추는 음식들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식도 점막을 자극할 수 있는 신맛의 과일주스, 탄산음료 등의 섭취를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만인 경우에는 체중을 조절하고, 역류가 심한 환자는 잠을 잘 때 상체의 각도를 약간 올려서 잠을 자는 것이 증상의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댓글

  •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