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로 인해 골밀도의 수치가 떨어지면서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골다공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골다공증으로 진단받는 경우 약물치료나 주사 치료를 받게 됩니다. 오늘은 골다공증 주사 효과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골다공증은 쉽게 말하면 뼈에 구멍이 난 상태를 이야기합니다. 그래서 정상인보다 뼈의 밀도가 줄어든 상태로 밀도가 낮기 때문에 체중이나 압력에 견디는 힘이 부족할 수밖에 없고, 가벼운 충격에도 뼈가 부러질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노화입니다. 사람의 뼈는 한 번 형성되고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파괴되고 재형성하는 상황을 거치게 합니다. 이런 재형성 과정은 뼈의 형태나 밀도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나이가 들어갈수록 뼈의 형성보다 파괴가 많아지면서 골밀도가 서서히 감소하는 것입니다. 뼈가 가장 튼튼한 나이는 30세 전후로 30세를 넘어가게 되면 뼈의 형성이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특히 50대 이상이 되는 경우 골다공증의 발병률이 높습니다. 그 이유는 호르몬의 영향 때문입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에스트로겐이 골 흡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해야 하는데 호르몬의 양이 줄어들어 그러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뼈의 밀도가 떨어지는 골다공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외에도 다이어트를 무리하게 하는 경우, 흡연이나 과음이 잦은 경우, 그리고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도 골다공증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골절의 위험이 커집니다. 심한 경우에는 일상생활을 하면서도 뼈가 쉽게 부러질 수 있습니다. 70대 환자들은 고관절이나 척추의 골절이 흔히 발생합니다.
골다공증의 치료에서 핵심은 골의 소실을 막는 것입니다. 그래서 골밀도가 많이 낮아진 경우 주사 치료를 권하는 곳이 많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맞게 되는 경우 주사의 종류에 따라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의료진과의 상담이 꼭 필요합니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뼈를 흡수하는 세포의 기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지만 뼈의 강도를 약하게 만들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데노수맙은 뼈를 흡수하는 세포의 활성화를 막는 역할을 하지만, 비스포스포네이트보다 억제의 기능이 뛰어나 부작용이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부갑상샘 호르몬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주사는 앞 주사들과 다르게 조골세포의 기능을 높여 뼈의 기능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갑상선 호르몬제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여가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단순히 골다공증 주사로 상황을 해결하려고 하는 것보다는 의료진과의 상담은 물론 평상시 생활 습관을 개선해야 합니다. 또한 평상시에 음식이나 운동으로 뼈 건강을 챙겨주는 것도 골다공증을 예방할 수 있는 지혜로운 방법입니다. 평상시 몸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몸에 부담이 덜 되는 수영이 좋은데, 운동을 통해 근육을 강화해 뼈의 밀도가 떨어진 것을 보완해 주며 낫는 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것입니다. 또한 운동 전에는 가벼운 스트레칭을 하여 뼈에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좋습니다.